주예수내가알기전

9
2

허림2022-04-21 22:13
1. 편곡과 리하모니제이션, 보이싱에 관심이 많으신 거 같습니다.
2. 스스로 연구하고 연습한 흔적이 많이 보입니다.
3. 감정 표현과 처리가 섬세하고 좋습니다.
4. 전주가 좋고 더 만질 게 없습니다.
5. 0:30 노래 시작 직후의 리하모니제이션이 좀 이른 감이 있습니다. 그 다음 코드인 D/G와 어울리지 않습니다.
6. 0:43 G/F(3전위 코드)는 베이스가 7음이기 때문에 반음 아래로 하강진행하는게 더 자연스럽습니다.
7. 전체적으로 페달링 미숙으로 깔끔한 톤을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. 지금보다 훨씬 자주 밟아 줘야 한다.(매우 중요하고 인식하고 연습해보세요)
8. 1:11 Am 보이싱 아주 좋습니다.
9. 1:15초 근방에서 코드를 흐느적 잡는데 좋지 않은 습관입니다. 의도를 가지고 흐트러 뜨릴 때만 사용해보세요.
10. 1:24초 근방의 코드 리하모니제이션은 좋은 시도인데 정확하지 않은 보이싱으로 효과가 줄었습니다. 악보에 좋은 보이싱을 그려서 연습해야 합니다. 이런 중요한 부분일 수록 더 섬세하게 연습해서 익숙해져야 합니다.
11. 1:32 이렇게 뼈대가 되는 중요한 코드는 리하모니제이션보다는 원 코드를 지켜주는게 더 시원하고 편안한 느낌을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. 원곡을 많은 사람이 알기 때문에 더욱 그렇습니다.
12. 1:46 B7 이런 경우 더욱 페달을 쪼개어 밟아주면 좋습니다.
13. 1:48 Em 보이싱이 아주 좋습니다.
14. 1:54 이런데서 Cm/G 코드를 쓰면 좋습니다. 0:30에서 사용하는 것 보다 여기가 더 좋습니다.
^^
2. 스스로 연구하고 연습한 흔적이 많이 보입니다.
3. 감정 표현과 처리가 섬세하고 좋습니다.
4. 전주가 좋고 더 만질 게 없습니다.
5. 0:30 노래 시작 직후의 리하모니제이션이 좀 이른 감이 있습니다. 그 다음 코드인 D/G와 어울리지 않습니다.
6. 0:43 G/F(3전위 코드)는 베이스가 7음이기 때문에 반음 아래로 하강진행하는게 더 자연스럽습니다.
7. 전체적으로 페달링 미숙으로 깔끔한 톤을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. 지금보다 훨씬 자주 밟아 줘야 한다.(매우 중요하고 인식하고 연습해보세요)
8. 1:11 Am 보이싱 아주 좋습니다.
9. 1:15초 근방에서 코드를 흐느적 잡는데 좋지 않은 습관입니다. 의도를 가지고 흐트러 뜨릴 때만 사용해보세요.
10. 1:24초 근방의 코드 리하모니제이션은 좋은 시도인데 정확하지 않은 보이싱으로 효과가 줄었습니다. 악보에 좋은 보이싱을 그려서 연습해야 합니다. 이런 중요한 부분일 수록 더 섬세하게 연습해서 익숙해져야 합니다.
11. 1:32 이렇게 뼈대가 되는 중요한 코드는 리하모니제이션보다는 원 코드를 지켜주는게 더 시원하고 편안한 느낌을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. 원곡을 많은 사람이 알기 때문에 더욱 그렇습니다.
12. 1:46 B7 이런 경우 더욱 페달을 쪼개어 밟아주면 좋습니다.
13. 1:48 Em 보이싱이 아주 좋습니다.
14. 1:54 이런데서 Cm/G 코드를 쓰면 좋습니다. 0:30에서 사용하는 것 보다 여기가 더 좋습니다.
^^
엄청고민하다영상올립니다.